본문 바로가기

with. 라이프

천문학이란

천문학

천문학이란?

천문학(astronomy)은 행성이나 별,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입니다. 우주의 시작이나 진화, 천체의 운동, 화학, 기상, 물리, 진화 등을 그 연구 대상으로 합니다.

천문학은 인간이 하늘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부터 가장 일찍 태동한 학문중의 하나입니다. 선사시대의 여러 문명들은 피라미드, 스톤헨지 같은 천문학적 유물들을 남겼으며, 그리스, 인도, 중국, 바빌론, 마야문명, 이란 같은 동서양의 초기 문명들은 밤하늘에 관한 많은 관측기록을 남겼습니다. 하지만 망원경이 발명됨으로써 천문학은 현대 과학으로 발전을 하게 되었습니다. 역사적으로 천문학은 측성학, 역법, 천체 항법, 그리고 점성술까지 수많은 분야들을 포함했었는데, 현대의 천문학은 보통 천체물리학만을 의미합니다.


우주


20세기에 들어와서 천문학 분야는 관측 분야와 이론 분야로 크게 나뉘었는데요. 관측 천문학은 천체에 대한 자료를 얻고 이를 물리적으로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며, 이론 천문학은 천체와 천문학적 현상들을 컴퓨터나 해석적인 방법으로 설명하는 모형을 세우는 쪽을 추구합니다. 이 두가지 분야는 상호 보완적이며, 관측 천문학은 이론 결과를 확증해주는 역할을 하고, 이론 천문학은 관측 결과를 설명하는 틀을 제공합니다.

천문학은 여러 자연과학 분야 중 아마추어들의 공헌이 아직도 큰 분야 중의 하나입니다. 특히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은 혜성이나 소행성, 초신성 같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현상들을 발견하고 관측하는 데 큰 공헌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천문학은 점성술과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점성술은 천문학과 같은 뿌리에서 생겨났지만, 현재는 완전히 다른 분야입니다. 점성술은 하늘에서의 천체들 위치가 인간의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신념체계로써 자연과학의 범주에는 들지 않습니다.


어원과 용어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일반적으로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은 같은 의미로 쓰이는데요. 엄밀하게 사전적 의미에 따르자면, 천문학은 "지구 대기 밖의 물체들의 화학, 물리적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고 천체물리학은 "천문학의 한 분야로서 천체 및 천문현상의 물리적, 운동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한편, 천문학 개론서인 "물리적인 우주"에서처럼 "천문학"은 우주, 천문현상, 천체를 정성적으로 기술하는 분야를, 그리고 "천체 물리학"은 이러한 대상을 좀 더 물리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는 분야를 의미하는데 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측성학같이 전통적인 천문학에 가까운 분야도 있는 반면에 대부분의 현대 천문학 연구는 물리와 관련된 주제를 다루므로, 실제로는 천문학이 천체 물리학으로 물릴 수 있습니다. 많은 대학이나 연구소는 주로 역사적인 이유나,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학위 등에 따라서 종종 천문학과나 천체물리학과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기원과 역사

천문학은 인간이 하늘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동서양에서 가장 일찍 태동한 학문중의 하나입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농사와 날씨 예견, 해양, 지리관측과 측량이 그 주요 동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지역에서는 스톤헨지처럼 천문학적 목적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유적이 건설되기도 했습니다. 제사같은 종교적 목적 외에도 이러한 천문대들은 1년동안의 길이를 재거나, 매년 일정한 시기에 농사를 짓고 수확하기 위하여 하늘을 관측하는데 쓰였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에는 천문관측은 높은 건물같은 곳에서 맨 눈으로만 이루어졌으며, 분명이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특히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중국, 인도, 그리스, 마야문명 등에서 천문대가 만들어졌고, 우주의 본질에 대한 탐구가 시작되었습니다. 초기 ㅊ런문학은 오늘날에는 측성학으로 알려진 하늘에서 별과 행성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이런 관측으로부터 행성의 운동, 달, 지구의 본질, 태양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때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고, 태양과 달은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것을 지구중심설, 천동설 또는 프톨레마이오스 모형이라고 부릅니다.
역사적으로 특히 중요한 사건중에 하나는 바빌론에서 수학,과학적 천문학이 시작된 것입니다. 예로 바빌론 천문학자들은 월식이 사로스라는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바빌론 천문학자들은 이 후 다른 문명에서 발달할 천문학적 전통의 기반을 닦았습니다.

바빌론 이후의 중요한 발전은 고대 그리스에서 이루어졌습니다. 그리스 천문학은 천문 현상에 대해 이성적이고 물리적인 답을 구하려 했다는 특징이 있었습니다. 기원전 3세기에는 그리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지구의 크기를 계산하였으며, 달과 태양까지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처음으로 지동설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원전 2세기에는 히파르쿠스가 세차를 발견하였으며, 달의 크기와 거리를 계산하고 어스트로랩이라고 불리는 천문기구를 발명하였습니다. 히파르쿠스는 방대한 1020개의 별 목록을 작성했으며, 북반구의 대부분 별자리는 그리스 천문학에서 유래했습니다. 반면에 프톨레마이오스는 천동설을 주장하였는데 천동설은 기독교의 교리에 더 부합하였으므로, 중세에 들어서는 이 책은 천문학에서 가장 권위있는 책으로 받아들여졌고, 코페르니쿠스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천동설이 널리 믿어지게 되었습니다.
다른 자연과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천문학도 중세 유럽에서는 13세기까지 거의 정체되었지만, 이슬람과 다른 지역에서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했습니다. 약 9세기 초에는 이슬람 지역에 최초의 천문대가 등장했으며, 964년에는 페르시아 천문학자 알 수피가 안드로메다 은하를 발견했습니다. 역사상 기록된 초신성 중 가장 밝은 초신성인 SN 1006가 이집트 출신 아랍 천문학자인 Ali ibn Ridwan과 중국의 천문학자들에 의해 1006년에 관측되었습니다. 이 당시의 아랍 천문학자들은 오늘날까지도 널리 쓰이고 있는 많은 항성이름들을 도입하였습니다.

과학 혁명

17세기를 전후하여 발명된 망원경으로 천문학은 더 멀리 내다 볼 수 있게 되었으며, 20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발전된 역학, 전자기학 및 상대성 이론과 같은 현대 물리학의 업적은 천문학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면서 새로운 장을 열게 되었습니다. 20세기에 접어들어 인간은 지구를 벗어나 우주 공간에서 우주를 관찰, 탐험하는 경지에 이르렀습니다. 르네상스 기간에는 코페르니쿠스가 태양중심설을 제안했으며, 이는 갈릴레이와 케플러에 의해 좀 더 확장되고 발전되었습니다. 갈릴레이는 처음으로 천문학에 망원경을 도입하였으며, 케플러는 마침내 행성들이 태양을 초점에 놓는 타원궤도를 공전하는 정확한 태양계 모형을 고안해 냈지만 행성들이 타원궤도를 그리는 근본적인 이유는 알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마침내 뉴턴이 천체역학과 중력의 법칙을 발견함으로써 해결되었습니다. 또한 뉴턴은 새로운 방식의 반사 망원경을 고안해내기도 했습니다.
망원경의 크기와 성능이 향상되면서 많은 천문학적 발견들이 이루어졌고, 천문학자 라카유에 의해 방대한 별의 목록이 만들어졌으며, 허셜은 방대한 성운, 성단 목록을 제작했고, 1781년에는 처음으로 새로운 행성인 천왕성을 발견하게 됩니다. 1838년에는 베셀이 백조자리 61별의 연주시차를 측정하믕로써 처음으로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됐습니다. 18~19세기 중에는 오일러, 달랑베르, 클레로 등이 삼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끝에 달과 태양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라그랑주와 라플라스는 이러한 노력들을 더욱 발전시켜, 달과 행성의 섭동으로부터 질량을 추정하기도 하였습니다.

행성

분광학과 사진술같은 새로운 기술의 발전으로 천문학에 획기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프라운호퍼는 1814~15년에 태양의 스펙트럼에서 약 600여개의 어두운 띠를 발견하였는데, 이는 1859년에 키르히호프에 의해 각기 다른 원소들 때문에 생긴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분광학을 다른 별들에 적용함으로써, 별들이 태양과 같은 천체이며, 온도, 질량, 크기는 다른 것이라는 사실이 정립되었습니다.
20세기에 들어 하늘에 보이는 은하수가 별들의 집합인 우리은하라는 사실이 확립되었으며, 이어서 우리은하 밖의 외부은하, 그리고 우주의 팽창이 발견되었습니다. 현대천문학은 또한 필서, 블레이져, 전파은하, 퀘이사 같이 특이한 천체들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관측들은 이를 중성자별, 블랙홀로 설명하는 이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우주의 원소 함량, 허블의 법칙 등의 관측이 지지하는 대폭발 이론의 등장으로 물리적 우주론은 20세기에 들어와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우주 망원경의 발전으로 지구 대기에 흡수되어서 그동안 관측할 수 없었던 전자기파의 영역을 통한 관측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with.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래된 습관을 없애고, 새로운 습관을 들이자  (0) 2020.03.28
정치학에 대하여  (0) 2020.01.04
심리학이란 무엇일까요?  (0) 2020.01.03
알파고에 대해서  (0) 2020.01.02
눈 건강을 지키기  (0) 2019.01.30